본문 바로가기
돈되는 정책 및 정보

연차 수당 계산의 모든 것 ( 계산 방법, 계산기, 통상 임금)

by 보통의하루- 2025. 1. 1.
반응형

이제 2025년이 다가오는 만큼 많은 직장인 분들은 돌려받으실 돈에 대해서 궁금한 게 많으실 겁니다.
먼저, 연차수당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연차수당이 무엇인지 그리고 계산방법과 계산기 사용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연차수당, 연차수당 계산법
연차수당

 

연차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연차수당?

 
연차수당은 근로자가 사용하지 않은 연차휴가에 대해 지급받는 금액으로, 근로기준법에 따라 발생한 연차를 만약 근로자가 사용하지 못했을 경우에 지급됩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근로자는 일정 기간 근무한 후 연차휴가를 받을 권리가 있으며, 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당으로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연차수당은 근로자의 권리이므로 정확히 이해하고 계산하시길 바랍니다. 
 

연차수당 계산법

 

연차수당의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연차발생기준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연차 발생기준

 

  • 1년 미만의 경우: 매월 만근시 연차 1개 발생 (최대 11개 발생)
  • 1년 이상의 경우: 80% 이상 근무 시, 연차 15개 발생
  • 3년 이상 이상: 2년마다 연차 1개씩 추가 (최대 25개까지 발생)

 

통상임금

 

통상임금은 근로자가 정기적으로 받는 급여로, 기본급,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수당 등을 포함합니다. 통상임금은 연차수당 계산의 기초가 되므로, 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상임금은 근로자의 근무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계산할 때는 주당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연차수당계산기

 

연차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연차수당은 기본적으로  1일 통상임금 × 미사용 연차 수량으로 계산됩니다.
*통상임금 계산은 계산기를 통해서 하시면 됩니다.
 
연차수당 계산기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한 근로자가 하루에 8시간 근무하고 남은 연차수가 3일에 기본급 250만 원에 고정수당이 50만 원으로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렇다면 1일 통상임금은 14354원이 나오고 남은 연차 3일을 곱하게 되면  14354원 × 3일 = 344496원이 됩니다.
 
연차수당계산기는 밑에 사진을 통해서 들어가시면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의 남은 연차와 근무시간과 급여액만 입력하시면 쉽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연차수당계산기, 연차수당
연차수당계산기

 

연차수당계산기, 연차수당
연차수당계산기

 

연차수당 궁금한 점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수당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연차수당 계산이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단시간 근로자는 근무시간이 짧기 때문에, 통상임금을 계산할 때 주당 근무시간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단시간 근로자가 주 20시간 근무하고, 시급이 10,000원이라면, 통상임금은 시급 × 주당 근무시간으로 계산됩니다. 이 경우, 통상임금은 10,000원 × 20시간 = 200,000원이 됩니다.

 

연차수당 소멸

 

연차수당은 3년이 지나면 소멸하니 그전에 꼭 받으시길 바랍니다.

 

연차수당 세금

 

세금 부과 합니다.
 
 
연차수당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연도에 놓치지 마시고 꼭 받으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