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초년생분들이라면 무조건 해야 하는 정부지원 금융상품이 있습니다.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이 청년도약계좌가 2025년 더 많은 혜택으로 돌아왔다고 합니다. 전보다 완화된 내용이나 어떠한 혜택이 있는지 2025년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총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납입하면 매월 최대 6% 정부기여금을 제공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정부기여금이 지급되는 상품이다보니 연 최대 9.54%의 일반적금상품 가입효과가 있습니다.
납입금액 및 금리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1천 원 ~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가능합니다. 금리는 은행마다 다르지만 기본 3.8% ~ 4.5% 에서 최대 6%까지 적용됩니다. 3년 고정금리에 2년 변동금리를 적용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청년도약계좌의 가입대상을 보면 신규가입일 기준 만 19 ~ 34세 이하이며, 병역기간 최대 6년을 인정하여 해당되시는 분이라면 빼고 연령을 계산하시면 됩니다.
*병역이행 하신 분은 최대 40세까지 가능합니다.
개인소득
청년도약계좌는 직전 과세 기간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입니다. (육아휴직 수당, 군장병 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입니다)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합니다.
가구소득
청년도약계좌는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면 됩니다.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합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아야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크게 3가지 혜택으로 볼 수 있습니다.
1. 정부기여금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1 ~ 3.3만 원의 정부기여금을 제공합니다. 납입한 만큼 기여금 전부 지금 되어 연 최대 9.54%의 일반적금상품 가입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2. 비과세혜택
청년도약계좌에 납입한 납입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세가 0원입니다.
3. 소득, 우대금리
청년도약계좌는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2025년 추가된 혜택
-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이 강화됩니다. 만기(5년) 도래 전이라도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 해지한 경우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 지급이 60% 수준으로 유지됩니다. 이것은 연 최대 7.64%의 일반적금상품 가입 효과입니다. - 성실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을 부여합니다. 2년 이상,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개
인신용평가점수가점 최소 5 ~ 10점 부여합니다.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청년도약계좌 납입정보 자동 연결됩니다. - 부분인출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인출서비스 이용 가능합니다.
신청기간 및 가입 방법
보통 청년도약계좌의 신청은 월 초에 있습니다. 이번 2월 신청은 2월 3일 ~ 2월 14일까지입니다. 주말과 공휴일은 신청이 안되므로 신청일자는 10일밖에 안됩니다. 그러니 늦지 않게 꼭 신청하셔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은 취급은행 앱을 통해서 하시면 됩니다. 신청 후 2주 동안의 가입 심사가 이루어지고 취급은행에서 가입안내를 받으시고 계좌 개설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유의사항
- 청년도약계좌는 모든 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 현재 청년 희망적금을 가입하고 있으시다면 청년도약계좌 가입 불가 합니다.
-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납입이 중지됩니다.
마무리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총정리해 보았습니다. 시드머니를 모으시는 사회 초년생 분들이라면 엄청 난혜택으로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이번 연도 초까지는 23년 소득기준으로 잡히니 소득이 오르기 전에 빨리 청년도약계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돈되는 정책 및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문화누리카드 사용 및 지원 총정리 (0) | 2025.02.05 |
---|---|
정읍시 민생회복지원금 연장신청 (0) | 2025.02.01 |
나주시 민생경제회복지원금 신청의 모든것 (1) | 2025.01.30 |
완주군 민생안정지원금 총정리 (0) | 2025.01.28 |
남원시 민생안정지원금 신청의 모든것 (민생회복지원금) (0) | 2025.01.28 |